2018년 5월 처음 중국 샤먼으로 왔을 때, 이곳은 벌써 30도를 웃도는 여름이었습니다. 우리 아이들은 한국에서 학기를 끝내지 못하고 중국으로 왔습니다. 아빠가 주재원으로 년 초에 먼저 출국한 상황이었고, 하필 거주문제를 해결하기도 여의치 않아서 1학기 중간에 '유학에 의한 의무 교육 유예 신청'을 하게 되었습니다. 큰 아이의 담임 선생님께서 큰 아이를 참 예뻐해 주셨던 터라, 마지막 날에는 마음이 울컥하더라고요. 헤어짐은 아쉽지만, 우리는 비행기에 몸을 실었습니다.
한국 내 초등학교 전출 과정과 출국 전 준비서류
우선, 담임선생님을 통해 '의무교육/취학의무 유예/면제 신청'을 하였습니다. 신청시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자녀가 다니고 있는 해당 학교에 구체적으로 문의하셔야 합니다.
서류 종류 | 참고 사항 |
의무교육 면제 신청서(취학의무 면제 신청서) | 학교 서무실 또는 행정실에서 준비해주시면 작성하시면 됩니다. |
주민등록등본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 출국 대상자 모두 포함, 1개월내 |
재외국민등록부등본 사본 | 처음 해외로 나가는 경우에는 제출 필요 없는 것 같습니다. |
가족 모두 출입국사실증명서 사본(출국 대상자 모두) | 한국에서 출국했다는 내용이 확인 되어야 하므로 이 것은 출국하는 날 인천 공항 2층의 출입국 사무실에 발급을 요청하고 학교로 배송을 부탁하면 출국 후 학교로 발급처리 됩니다. |
가족 모두 여권 및 비자 사본(출국 대상자 모두) | |
해외 발령 확인서 또는 해외 근무 증명서(해외 파견 관련 공문 등 직장에서 발급해주는 증빙 서류) | 정당사유 여부 확인용 |
해외 학교 입학 허가서 또는 해외 학교 재학 증명서 | 입학 허가서는 입학 허가 통보받은 이메일을 출력하여 제출하는 것으로 갈음할 수 있습니다. 혹은 출국 후 구비되는 대로 학교에 송부해야 합니다. |
행정정보 공동이용 사전동의서(출국 학생 출입국 사실 확인용) 및 개인정보수집동의서 | |
학부모 의견서(확인서) |
행정실을 통해서 관련 서류를 작성 제출하고 나면, 교장 또는 교감 선생님, 학생부장 선생님, 담임선생님 등과 함께 의무 교육 유예 심의회를 열고 참석하게 됩니다. 여기서 서류를 확인하고, 해외로 전출하는 사유를 설명하고 이후 학교에서 처리될 사항에 대해 설명을 듣습니다. 또, 최종 출석일을 확인하기도 하고요. 저희의 경우 5월 하순이 시작될 무렵 할머니 댁으로 이동하였고, 5월 말까지 약 8일 정도를 출석이 인정되는 체험학습으로 처리해 주시기로 하셨습니다. 이렇게 해서 한국에 재학하였던 학교에서 전출처리는 완료되었습니다.
※ 참고. 저희 막내는 한국 나이 6살에 출국하였기 때문에, 이후 한국 입학연령이 되어 한국에 잠시 귀국하자 취학의무 면제 신청을 하도록 요청받았습니다. 취학의무 면제 신청은 주소 소재지 주민센터나 소재지 배정 예정 초등학교에 하여야 합니다.
이제 한국 학교 전출 문제를 정리하였으니, 앞으로 다닐 국제학교에 입학하기 위해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야겠습니다.
자, 뭐가 필요할까요?
서류 종류 | 참고 사항 |
생활기록부 | 번역 공증합니다. 혹시 학기 중이시라면 해당 학기의 기록은 바로 발급이 안 됩니다. 선생님께부탁하셔서 나이스교육정보 시스템에 아직 등록이 완료되지 않는 최근까지의 자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학기 중의 기록자료는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저의 경우 국제학교에서 학년 배정 시 참고는 될 수 있습니다. |
재학증명서 | 요즘은 학교에서 바로 영문으로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
기본증명서 | |
가족관계증명서 | 영문 가족관계증명서 발급가능합니다. |
예방접종기록내역 | 주소지 소재 보건소나 예방접종홈페이지에서 영문으로 바로 발급가능합니다. |
증명사진 | 기본 학교에서는 2장정도 필요합니다. 등록용, 학생증용 |
여권 및 비자 사본 |
국제학교 입학 전 알아볼 사항
출국 전에 서류를 준비하시면서 당연히 어느 학교에 입학을 하는 것이 좋을지 찾아보게 되실겁니다. 가시는 지역에 따라 중국의 베이징, 상해,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 등의 큰 국제도시에는 그만큼 국제학교가 엄청나게 많습니다. (프랑스학교, 독일학교 등 아예 그 나라 학제와 교육 시스템을 가지고 와서 가르치는 학교도 있고, 현지의 공립학교에 입학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하기도 합니다. 베이징이나 자카르타에는 한국교육 시스템을 그대로 갖춘 한국 국제학교도 있습니다.
☞대한민국 교육부 외국소재 학력인정학교 목록, CIS의 멤버쉽 학교 목록, IBO의 IB학교 목록을 보시려면 하단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다만, 제일 우선은 국제학교는 모두 사립인 만큼 교육비 수준이 아주 높으므로, 회사에서 재정지원 등 부담 여부를 우선 살피셔야 할 것입니다. 다음으로 중요한 것이 아이가 12년의 교육을 마치고 진로를 어떤 방향으로 정할지를 어느 정도 감안하고 학교를 찾으셔야 합니다. 국제학교의 성격은 크게 고등부에서 어떤 교육시스템을 통해 학력을 인정받는지에 따라 4가지로 나뉩니다. 여기서는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Educational Systems (School Curricula and Academic Programmes) |
|
IGCSE | International General Certificate of Secondary Education의 줄임말. IGCSE는기본적으로 영국의 학교 교육 시스템인 GCSE의 국제학교 버전으로서 10-11학년사이에 치는 시험을 통해 A-level이라는 대학입시 시험을 칠 수 있는 학습 능력을 갖추었는지를 인증하는데 목표를 둔 교육과정입니다. 교육기간이 13년이고, 그래서 한국보다 입학연령이 2살 낮으며, 한국학생들이 이 시스템을 갖춘 학교에 중도 입학할 경우 학년 계산을 잘 해야합니다. |
IB | International Baccalaureate의 줄임말. 스위스 비영리기관인 IBO에서 개발한 교육 시스템으로 교육기간은 12년으로 한국과 동일하나, 1학년~5학년을 PYP교육과정(초등)이라 하고, 6학년부터 10학년까지를 MYP교육과정(중등), 11,12학년을 DP(Diploma)과정으로 두고 교육합니다. DP를 취득하여 이후 대학에 진학하거나, CP를 취득하면 고교학력인증과 직업교육인증과 유사한 것으로 이후 취업활동 등으로 진로가 달라집니다. |
A level | Advanced Level Qualification의 줄임말. 앞서 설명한 IGCSE를 마친 아이들이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2년 정도에 걸쳐 3-4과목 정도의 A level을 공부하고 최종적으로 일련의 시험을 통해 대입능력을 갖추었는지를 인증하는 과정입니다. |
AP | The Advanced Placement의 줄임말. 대체로 미국계 교육 시스템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College Board라는 기관이 주관하고 있습니다. 미국계 교육 시스템에서는 10학년으로 진급하면서 대학에서 배울 과목들을 미리 고교 과정에서 수학하고 학점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전공하기를 희망하는 학과에 관련한 과목들을 미리 수료하여 대학 진학시 AP 점수 기록을 같이 제출합니다. 한국의 수학능력시험과 동급의 대입 진학 시험이라고 알려진 SAT와 함께 북미쪽 대학으로 진학하고 싶은 국제학교 학생들에게 꼭 요구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12년 특례나 3년 특례로 한국의 상위권 대학에 진학하려고 하더라도 IB점수, SAT점수, 각종 어학시험 점수와 함께 필수적으로 제출이 요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우리 아이들은 첫 국제학교를 중국의 푸젠 성, 샤먼에 있는 작은 국제학교로 다니게 되었습니다. 이곳은 도시 안에 현재 국제학교(International School)라는 이름을 쓰는 학교가 3곳이고 몇 군데 중국아이들을 위한 "외국어학교"(쌍어학교)들이 더 있는 곳입니다. 선택의 여지가 그렇게 크지 않지요. 이후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도, 미국 조지아주의 외곽도시 피치트리에서도 교육을 받아보는 귀한 경험을 하게 될 것이란 것을 이 때는 꿈에도 몰랐지요. 차차, 다른 나라의 다른 타입의 학교 이야기도 풀어가 보겠습니다.
대체로 주재원 가족은 일상생활부터 아이들 학교까지 이미 먼저 생활하고 있던 다른 주재원 가족이 제공하는 정보에 매우 큰 영향을 받게 됩니다. 아마 주재원이시라면 어느 곳에 사는 것이 더 유리할지, 학교는 어느 곳을 선호하는지, 음식은 어느 곳에서 구매하는지 등등 소소한 많은 것들을 기존 주재원가족으로 부터 영향을 받게 됩니다. 이것도 좋은 정보가 되겠지요.
출국 전 한국의 학교에서의 전출과정과 준비서류, 출국 후 국제학교 입학을 위해 준비할 사항을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국제학교에 입학하고 등교할 순서네요. 다음 글에서는 국제학교와 한국학교의 학제 차이에 대해 좀 자세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12년 특례가 가능한 경우에는 외국에서 12년의 학업을 완성하는 것에 집중하면 되지만, 우리 아이들처럼 3년 특례 또는 외국대학 진학의 선택지만 있는 경우에는 한국으로 돌아갈 시기에 대해 준비하고 고민하지 않을 수 없더라고요.
외국소재 학력인정학교(학적서류 간소화 학교)목록 안내(2023.4.28.기준)
- 변경내용: 미국(플로리다), 인도(뭄바이), 일본(동경), 중국(광저우)- 첨부된 학교목록은 외국학교에 대한 학력인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귀국 후 한국학교 편입학에 필요한 학적서류(재학·
www.moe.go.kr
https://www.ibo.org/programmes/find-an-ib-school/
Find an IB World School
Find an IB world school near you. International Baccalaureate world school search.
www.ibo.org
https://www.cois.org/membership-directory
Membership Directory - CIS Council of International Schools
CIS is a non-profit organisation committed connecting schools and universities. View a list of Council of International School (CIS) members.
www.cois.org
'국제학교 보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준비 없이 초등 5학년 첫 해외 국제학교 적응기 (1) | 2023.05.12 |
---|